|
이름 | 임소영 |
---|---|---|
직급 | 연구위원 | |
전화번호 | 044-287-3133 | |
연구/전공분야 | 환경/기후변화 ODA, 지속가능발전, ESG, 개발협력 | |
최종학력 | 서울대학교 공학박사(2008) | |
경력 |
2012.08~현재 산업연구원 근무 2017.09~현재 한국국제협력단(KOICA) 기후변화환경 분야 전문위원 2020.02~현재 외교부 무상원조관계기관 협의회 민간전문가단 2020.02~2021.06 P4G 정상회의 준비기획단 의제부문 자문위원 2016.08~2020.07 국무총리실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원회 위원 2018.04~2019.02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민관학 공동 작업반 2018.12~2019.01 산업부 제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인프라 분과위원 2013.07~2017.07 환경부 중앙환경정책위원회 국제협력 분과위원 2008.11~2012.07 한국국제협력단(KOICA) 기후변화대응실 전문관 2000.09~2002.04 Institute of Social Research(U. of Michigan) Research Assistant 1997.09~1999.08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U. of Michigan) Research Assistant <상훈> 2013.12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표창 2011.12 기획재정부 장관 표창 2011.12 한국국제협력단(KOICA) 이사장 표창 |
|
주요 연구실적 |
<연구보고서> 「탄소국경조정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과 국내 무역 경쟁력 변화」(공동), 2021.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책임), 2021. 「기후정상회의를 통해 본 바이든 정부의 기후위기 정책」(책임), 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그린스완에 대처하는 산업계 대응의 글로벌 동향」(책임), 2021. 「아세안 국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개발협력 과제」(책임), 2020.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와 노동시장 변화 분석 및 정책과제」(공동), 2019. 「글로벌 소프트파워 강국 실현」(공동), 2019. 「국내 기업의 포용성 강화 활동의 성과와 정책방안」(책임), 2018. 「산업 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국내이행의 이해와 촉진」(책임), 2018. 「주요 부문별 혼합금융 활용을 통한 국제개발 추진방안」(책임), 2017. 「미세먼지 추이의 국별 지역별 비교와 정책 시사점」(책임), 2017.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국내 기업 인식 현황과 정책과제」, 2017. 「민간부문개발을 위한 개발협력 전략 수립 방안 연구 -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책임), 2016.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경제산업 부문의 효과적인 국내이행을 위한 기초연구」(책임), 2016. 「국내 외국인 인력을 활용한 해외진출 기업 지원방안 및 시사점」(공동), 2016. 「국제개발협력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의 산업 ODA 정책방향」(공동), 2015. 「CLMV 국가의 에너지 보급을 위한 개발협력 프로그램 연구」(책임), 2014.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ODA 동향과 시사점」(책임), 2014. 「산업 분야 ODA의 동향과 이슈 분석」(책임), 2013. 「녹색기후기금(GCF)의 모니터링 방법론 연구 - 결과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책임), 2013. 「개도국의 녹색산업 및 환경주류화 지원전략 연구」(책임), 2013. 「ODA 사업의 녹색화 현황 및 과제』, 2012. 「Green Growth: Global Green Strategy-Ch.4 Energizing South Asia with Renewable Energy」, 2012. 「KOICA 환경주류화 가이드라인」(책임), 2012. 「Green Growth:Global Cooperation-Ch.4 The Need for Green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2011. 「녹색기후기금의 모니터링 및 평가체제 분석」(공저), 2011.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농촌전력화 프로그램 개발협력 모델」, 2011. <용역 보고서> 「탈탄소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확인제도 수립」(공동), 기술보증기금, 2021. 「개발협력기관의 기업과의 협력 전략 동향 연구」(책임), 한국국제협력단(KOICA), 2020. 「Planet ODA 전략 및 실천방안 연구」(책임), 한국국제협력단(KOICA), 2020. 「국제 조달시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산업컨설팅 포럼 운영」(책임), 산업통상자원부, 2019. 「EDCF 비구속성 원조 활성화 방안」(책임), 한국수출입은행, 2019. 「산업에너지 ODA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공동), 산업통상자원부, 2018. 「GCF 연관산업 육성과 송도 녹색기후금융도시 조성방안 연구」(책임), 산업통상자원부/인천광역시, 2018. 「지속가능하고 포용적 성장을 위한 유럽-아시아 협력방안 연구」(공동), 산업통상자원부, 2017. 「2016 KSP : 쿠바 신재생에너지 발전 역량강화」(공동), 대한무역진흥공사(KOTRA), 2017. 「신기후체제 하의 KOICA 기후변화 사업 방향」(책임), 한국국제협력단(KOICA), 2016. 「중소중견기업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민간협력차관 활용 전략 연구」(책임), 한국수출입은행, 2015. 「국별지원전략(CPS) 중점협력분야 선정 연구」(책임), 국무조정실/한국수출입은행/한국국제협력단, 2015. 「국제금융기구의 환경사회 세이프가드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기관 및 산업계 적용방안 연구」(책임), 환경부, 2015. 「국내 환경산업계의 지구환경금융(GEF) 활용 촉진방안 연구」(책임), 환경부, 2015. 「GCF 조직 구조 및 사업운영 기준에 대한 연구」(책임), 기획재정부, 2014. 「글로벌 생물다양성 전략계획 및 목표 달성 지원을 위한 생물다양성 개발협력 정책방향 연구」(책임), 환경부, 2014. 「2013 KSP 국제기구(GGGI)와의 공동 컨설팅 : 베트남 다낭시 친환경 산업단지 개발전략」(공동), 2014. 「녹색기후기금을 활용한 창조경제 활성화 방안」(책임), 기획재정부, 2013. 「녹색기후기금의 사업모델 운영방안 연구」(책임), 기획재정부/환경부, 2013. <논문 및 기고> "EU 핏포55(Fit for 55)가 국내 탄소중립 정책에 주는 시사점", KIET 월간 산업경제, 2021년 8월호. "그린뉴딜의 기준, 녹색 분류체계의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 KIET 월간 산업경제, 2020년 11월호. "주요국 그린뉴딜 정책 추진 동향과 시사점", KIET 월간 산업경제, 2020년 8월호. "독일과 중국 산업정책의 비교와 시사점", KIET 월간 산업경제, 2019년 8월호. "지속가능발전목표의 국내이행과 개발협력 간 일관성에 관한 국별 비교와 시사점-기후변화 분야-", 국제지역연구, 2018. "Sustainable Energy Cooperation between CLMV Countries and Korea", Korea and the World Economy, 2017.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개발금융기관의 전략적 접근법 분석과 시사점", 사회과학연구, 2016. "2030 개발의제 시대 개발컨설팅 사업의 방향 - 정책자문 사업을 중심으로", KIET 월간 산업경제, 2016년 2월호. "녹색기후기금의 사업모델체계 논의동향과 향후과제", KIET 월간 산업경제, 2014년 1월호. "녹색기후기금(GCF)의 의의와 시사점-기후재원과 개발재원의 비교 고찰", KIET 월간 산업경제, 2012년 12월호.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농촌전력화를 위한 개발협력 프로그램", 환경사회학 연구 ECO, 2012. "녹색기후기금 평가체제 논의동향과 대응방안"(공저), 환경정책, 2012. "개발도상국 개발협력에 대한 기후변화 통합화 방안 및 방글라데시의 적용 사례", 환경정책, 2011. "OECD/DAC ENVIRONET(환경과 개발 네트워크)의 기후변화와 개발 논의 동향", 국제개발협력, 2010. "국제개발협력 분야별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 기후변화 분야"(공저), 국제개발협력, 2009. "기후변화 관련 최근 원조현황과 논의 방향(3): 신재생에너지 분야"(1저자), 국제개발협력, 2009. "신재생에너지 분야 전문가의 지불의사액 조사 연구"(1저자),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설계와 남북한 신재생에너지 협력 추진방안"(1저자),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