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04 건
리스트 갯수 선택
10개씩 보기
20개씩 보기
보기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한국형 퀵스타트를 활용한 지방투자 활성화 방안
본문요약
한국형 퀵스타트 사업은 지방투자 기업의 성공적인 인력 공급 모델로 자리매김
* 한국형 퀵스타트 시범사업(2023년)에 참여한 4개 기업 중 85명의 교육훈련생이 배출되었으며, 이 중 69명이 해당 기업에 채용되었고, 그중 63명이 지역 주민
글로벌 환경변화, 디지털전환 및 그린전환 등에 따른 대내외 환경변화에 조응한 투자 확대는 산업 경쟁력 및 고도화를 위해 필수적
* 고숙련 인력 확보가 중요한 첨단산업 및 신기술 분야는 투자 결정시 이를 더욱 중요하게 고려
첨단산업 및 신기술 분야에서도 한국형 퀵스타트 정책이 활용될 수 있도록 고도화 긴요
내용 문의
김영민 부연구위원(044-287-3103)
엠바고
본 자료는 4월 25일(금)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4월 24일 (목)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결과(`25년 4월 현황과 5월 전망)
본문요약
4월 제조업 현황: 업황(80) 기준치 하회 전환, 내수(81)·수출(79) 동반 하락 전환
5월 제조업 전망: 업황(73) 기준치 상당폭 하회, 내수(81)보다 수출(65) 큰 폭 하락
주요 유형별 업황: 4월 현황은 ICT․기계․소재부문 100 동반 하회 전환, 전월비 큰 폭 하락, 5월 전망은 전 유형 100 동반 하회, 특히 ICT․소재부문 큰 폭으로 하락
세부 업종별 업황: 4월 현황은 반도체와 조선 제외한 다수 업종 100 상당폭 하회, 5월 전망은 반도체 업종만이 100 상회 수준 유지하고, 대부분 업종 현저히 하락
내용 문의
민성환 선임연구위원(044-287-3127)
엠바고
본 자료는 4월 21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4월 20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조사결과(`25년 1분기 현황과 2분기 전망)
본문요약
2025년 1분기 제조업 현황 : 시황(78)·매출(77) BSI 100 하회, 전분기 대비 하락
2025년 2분기 제조업 전망 : 시황(91)·매출(95) BSI 4분기 연속 100 하회 지속
유형별 결과 : 1분기 매출 현황 BSI 대다수 유형 100 상당폭 하회, 특히 ICT·신산업·중소업체 부진 심화, 2분기 전망은 대형업체 제외한 대부분 유형 100 하회
업종별 결과 : 1분기 매출 현황은 모든 업종 100 하회, 대부분 업종 전분기 대비 하락, 2분기 전망은 디스플레이 등 일부 업종 제외한 다수 업종 100 하회 지속
현안 설문 : 현 경영활동 상 부정적 요인은 '내수 부진·재고 누증' 응답이 절반 이상(52%) 차지, 트럼프 관세 정책 관련 대응 전략으로 ‘별다른 대책 없음’ 응답 다수
내용 문의
민성환 선임연구위원(044-287-3127)
엠바고
본 자료는 4월 17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4월 16일 (수)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한국 대미 수출의 구조적 분석:수지 불균형을 넘어선 산업 연계 구조
본문요약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자국의 무역적자를 무역 흑자국의 ‘관세장벽’으로 간주
이는 무역수지를 수치로만 해석한 제한된 시각에서 비롯된 것으로, 특히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미국 제조업과의 연계성에 기반한 필연적 결과로 재해석될 필요
최근 4년간 한국의 대미 수출은 중간재·자본재를 중심으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이는 미국 제조업 생산의 핵심 투입 요소로 기능
`15년 이후 대중국 견제와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 확대는 미국의 한국산 수입 의존도를 높이는 배경이 되었으며, 이는 미국의 산업정책 및 공급망 재편과도 밀접히 연결
또한 한국산 중간재와 자본재에 대한 미국의 의존도가 상승하고, 현지 매입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는 양국 산업 간 연계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줌
한국은 무역수지 흑자의 정당성과 한·미 간 상호보완적 산업 구조를 미국 측에 명확히 제시하고, 이를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통상 협상의 논리로 적극 활용할 필요
내용 문의
박성근 연구위원 (044-287-3172)
엠바고
본 자료는 4월 14일 (월)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4월 13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2025 중국 양회(两会), 산업정책 핵심키워드는 AI
본문요약
2025년 중국 양회((两会)에서는 미중 갈등 속에도 경제성장률을 5%로 제시하며 내수 확대 및 경기부양 정책을 확대하겠다는 정책 기조를 표명
딥시크로 자신감을 얻은 중국정부는 지난해에 이어 ‘AI+전략’ 추진을 재차 발표하였으며, 특히 AI 기술의 응용과 관련 산업생태계 구축을 강조
2025년 양회에서 처음으로 ‘임바디드 인텔리전스(embodied intelligence, 具身智能)’을 언급하며 AI 기술 경쟁력을 휴머노이드 로봇, 커넥티드카, AI 스마트폰 등 제조업을 중심으로 AI 응용산업 육성을 강화한다는 계획을 발표
향후 제2의 딥시크는 휴머노이드로봇등 제조분야 중심의 AI 응용산업이 될 전망
중국 AI 응용산업 생태계 구축과 미·중 AI 기술 블록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업 및 기술통상 정책 마련 긴요
AI 기술을 우리 제조업에 적용·확산하여 AI 산업생태계를 빠르게 구축하는하는 등 우리의 강점에 기반한 K-AI제조혁신 모델을 구축할 필요
내용 문의
조은교 연구위원(044-287-3828)
엠바고
본 자료는 3월 31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3월 30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산업경기 전문가 서베이조사결과(`25년 3월 현황과 4월 전망)
본문요약
3월 제조업 현황: 업황(107) 기준치 상회 전환, 내수(98)·수출(108) 3개월 연속 상승
4월 제조업 전망: 업황(99) 3개월 만에 하락 전환, 내수(91)·수출(96) 동반 하락
업종 유형별 업황: 3월 현황은 ICT․기계․소재부문 5개월 만에 100 동반 상회, 전월비 추가 상승, 4월 전망은 ICT․소재부문 100 동반 상회, 기계부문 3개월 만에 하락
세부 업종별 업황: 3월 현황은 반도체 등 ICT 다수 및 화학 등 소재 업종 중심으로 100 상회, 4월 전망은 반도체․화학․조선 등 제외한 다수 업종 100 하회 및 하락
내용 문의
민성환 선임연구위원(044-287-3127)
엠바고
본 자료는 3월 24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3월 23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균형발전 불평등도의 구조적 특성과 정책과제
본문요약
수도권-비수도권 간 격차 64%, 비수도권 내 격차 36% (‘03~’22년 평균)
* 국가 전체 불평등도는 축소 경향을 보이나, 수도권-비수도권 간 격차는 2015년 이후 확대되어 ‘18년 74%, ’19년 72%까지 상승(연도별 불평등도 총합=100), 이후 완화되는 “역 U자형” 패턴
* 반면, 비수도권(광역시도) 내 불평등도는 30% 전후로 비교적 안정적 흐름을 유지, 이는 균형발전 문제의 핵심이 수도권-비수도권 간 격차에 있음을 시사
균형발전 저해 요인은 지방의 자립적 발전역량 부족
* “지방 청년 유출→ 저출산·고령화→ 지방소멸 직면 →인구 재유출”의 악순환 구조 고착화
* (인력) 청년층을 포함한 생산가능인구가 수도권으로 지속 유출되어 지방경제의 성장동력 약화
* (산업) 고부가가치 지식기반산업 일자리 부족과 산업다양성 부족으로 인한 신산업 육성 한계
* (기업) 지방 투자 유치 부족, 신설기업 감소, 성장기업 정체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어려운 구조 지속
균형발전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지방 실물경제 중심의 전략 강화 필요
* 기존의 “일자리가 사람을 부른다”는 전통적 지역경제 모델에서 벗어나, “인재가 고부가가치 기업과 산업을 유치한다”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에 적응할 필요
* 이를 위해 지방이 자립적 역량 확충할 수 있도록 산업·인력·기업 중심의 실물경제 강화 정책 확대
* ①역내 주력산업과 연관성이 강한 신산업 육성 및 중소기업·창업기업 지원 강화를 통한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 ②디지털 전환(DX) 도입으로 지방 제조업 고부가가치화 추진, ③지방 대학 협력 강화를 통한 인재 양성 및 산학연관 연계 활성화, ④주거·문화·교육 인프라 확충으로 청년층 정착 환경 조성 및 지방에서도 수도권 수준의 삶의 질 보장,
내용 문의
허문구 선임연구위원 [044-287-3219]
이준영 부연구위원(044-287-3058) 박민성 부연구위원(044-287-3107)
엠바고
본 자료는 3월 17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3월 16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한국 정밀화학산업의 경쟁력 진단 및 시사점
본문요약
글로벌 공급망 재편, 디지털 전환, 그린 전환 등에 맞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우리 주력산업의 생존전략 필요
전문가 조사(FGI) 결과, 글로벌 메가트렌드에 따른 한국 정밀화학산업 경쟁력 종합 점수는 2.8점... 선도국(4.1점) 대비 낮은 것으로 평가
첨단산업에 필요한 고기능성 소재를 지원하는 정밀화학산업의 경쟁력은 국가 산업경쟁력과 직결되는 만큼 정부의 대응 방안 마련 시급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핵심 품목 국산화, 고부가·친환경 제품 개발 촉진, 중소기업 디지털·그린 인프라 확충 등 정책적 뒷받침 필수
내용 문의
이상원 부연구위원(044-287-3281)
엠바고
본 자료는 3월 13일(목)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3월 12일 (수)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간접수출이 직접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본문요약
간접수출기업은 연간 약 6만개사로, 약 43%가 직접수출과 간접수출을 병행
* 간접수출기업 : 국내 수출기업에 소재·부품 등을 납품하거나 무역상사 등에 최종 수출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수출에 기여
특정 위탁기업에 대한 전용자산 투자에 기초한 수위탁거래적 성격의 오랜 간접수출 경험은 구조적으로 글로벌화 진전을 크게 제약
최근에 간접수출에 참여한 내수기업일수록 간접수출 과정에서 축적된 지식 및 노하우를 기반으로 직접수출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
해외판로 개척의 가능성이 높은 우수한 내수 간접수출기업을 엄정하게 식별·발굴하고 다양한 직접수출 확대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
내용 문의
박양신 연구위원(044-287-3625)
엠바고
본 자료는 2월 26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2월 25일 (화)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산업연구원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테이블 제목
제목
AI 활용 확대와 성과를 위한 정책과제
본문요약
대표적 일반목적기술인 AI의 활용은 미래 산업경쟁력 강화의 핵심
AI에 대한 높은 관심과 달리, 국내기업의 AI 활용률이 낮고 편중된 경향
* AI를 활용하는 국내기업 비중은 약 5% 내외로, 산업·지역·기업규모에 따라 AI 활용도가 편중되어 나타남
국내 AI 활용기업의 경제적 성과 확산 또한 불확실
* 국내기업의 AI 활용을 통한 경제적 성과향상은 실증적으로 관찰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 소수/특정 기업에 한정되어 관찰
AI 조기 안착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신기술 활용과 성과 창출 간 선순환 구조 형성이 시급
내용 문의
송단비 연구위원[044-287-3188], 조재한 선임연구위원(044-287-3158]
엠바고
본 자료는 2월 24일(월) 조간부터 보도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 통신은 2월 23일 (일) 11시 이후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세부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