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3. 국내산업의 현 좌표
이하 자료는 통계법에 의한 일반 통계(승인번호 제 11515호) 조사인 「2002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결과를 활용 - 조사대상
기간은 2002. 1. 1 ~ 12. 31(1년간)임.
(1) 우리나라의 바이오산업 현황 (2002년 통계 기준)
- 1) 국내 주력업종 분포
-
생물의약, 바이오식품 업종에 종사하는 바이오산업체 비중이 높음.
<그림 12> 국내 바이오기업의 창업시기
(단위 : 백만 달러, 명, 개)
- 산업계 동향
- 국내 바이오산업은 연구개발 단계를 벗어나 매출발생 단계로 발전한 것으로 분석됨.
-
2002년 현재 국내 바이오산업체 556개 기업 중 345개사(62.1%)가 2002년에 매출을 발생시켰으며, 148개사(26.6%)는 매출 발생 이전의 연구개발 추진 중임. 그 외 63개사(11.3%)는 해외 바이오산업 제품을 수입 판매하는 기업임
<그림 4> 국내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비즈니스 추진 유형
- 2002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부문 투자현황
-
2002년도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산업부문 투자 규모 (수입품 판매업체를 제외)는 평균 8.24억원으로, 미국의 2002년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산업 부문 투자규모 평균인 266억원과 비교할 때 매우 저조
<그림 5> 국내와 미국 바이오산업체의 투자규모 비교
- 2002년도 한국 바이오산업 규모
-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 추산시 ‘발효공학기술’을 이용하는 주류 산업을 포함시킬 경우 국내 바이오산업 총 규모는 총 8조 1,337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류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총 규모는 1조 8,934억원
- 주류를 포함하지 않은 2001년 실태조사결과인 1조 3,950억원과 비교하면 2002년 규모 1조 8,934억원은 35.73% 증가
- 2002년 매출 규모의 92.27%를 2001년에 매출을 발생하였던 업체에서 기여. 이 들 업체 매출액의 2002년 증가율은 25.81%로, 이중 국내 판매액은 11.16% 증가한 반면 수출액 증가율이 43.78%로 나타남
<표 13> 수급규모 요약 (단위: 백만원, %)
<표 14> 바이오산업 분야별 국내판매액, 수출액 및 수입액
<그림 6>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의 분야별 비중
(단위: 백만원, %)
<그림 7>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의 분야별 비중 지역분포
- 매출발생 기업의 총종사자 규모 분포
- 2002년에 매출 발생 바이오산업체 중 62.0%가 총종사자 규모 50인 이하의 기업이었으며 501인 이상의 대규모 기업의 활동은 7.8%에 불과
- 바이오산업의 주력업종에 따라 기업 규모에 차이가 있음.
- 생물의약산업에 경우 조사기업의 15.4%가 501인 이상의 대규모 기업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기존 제약기업 등의 대규모 기업의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
- 바이오식품산업 진출을 위해 2002년 기준 연구개발을 추진 중인 기업 중 15.9%가 501인 이상 대규모 기업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바이오식품산업에서의 대규모 기업 활동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
- 바이오산업 주력업종별 창립년도 및 총종사자 규모
-
생물검정, 정보개발서비스 및 연구개발업종의 경우 소규모 신생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음
<표 15> 바이오산업체의 주력업종별 창립년도 분포
<그림 8> 바이오산업체의 주력업종별 총종사자 규모 분포
- 연구직, 생산직 종사인력 비중
- 2002년 국내 바이오산업 부문에 투입된 인력은 총 8,707명이며, 이 중 연구개발 인력과 관리직(생물공학 전공자에 한함)을 포함한 연구직 인력은 총 5,082명(58.4%)이고, 연구소 이외의 바이오산업 부문에 근무하는 생산직 인력은 총 3,625명(41.6%)
- 모든 주력업종에서 기업체의 연구직 인력 평균수가 생산직 인력 평균수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생물검정, 정보개발 서비스 및 연구개발업과 생물전자 산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매출발생 기업 비중이 탁월하게 높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직 인력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개발과 매출 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은 업종임을 시사
-
매출을 내고 있는 바이오산업체에서도 연구개발 인력의 비중이 5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출단계의 기업 역시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
<그림 9> 주력업종별 연구인력 대 생산인력 비율
- 바이오산업 특유의 종사인력 학위 분포
- 국내 바이오산업 부문 종사인력의 학위분포는 연구직은 박사:석사 :학사 비율이 1:2.4:1.2, 생산직의 경우 1:18.1:57.3
-
바이오산업의 종사인력 학위 분포는 일반 주력기간산업과는 매우 차별화되어 고학력자 위주의 인력 구조를 나타냄.
<그림 10> 바이오산업과 주력기간산업 간의 인력구조
주) 주력기간산업의 인력구조는 산업자원부, 한국산업기술재단의 ‘2003년 산업기술인력 수급동향 실태조사’ 참조
- 활용되고 있는 생물공학기술
- 국내 바이오산업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생물공학기술을 분석한 결과 생물공정기술의 활용 비중이 가장 높아 전체의 46%를 차지
- 생물공정기술 중 특히 ‘발효공학기술’의 활용도가 가장 높아 이 기술을 활용하는 제품의 수가 전체 바이오산업 제품의 17%를 차지
-
이는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에서 바이오식품 및 제조업 성향의 업체 비중이 높은 것을 반영하고 있음.
<그림 11> 생물공학기술 이용도 조사 결과
주) y축은 이용 생물공학기술 응답 품목(574개)에서의 각 기술 분야별 응답 비중(%)
- 일부 바이오벤처기업들은 다국적기업의 계약연구개발에 참여하거나 미국 SBIR 프로그램 등 선진국의 기술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보유
- 바이오식품(기능성식품), 바이오공학 관련기기(유전자추출기, 유전자서열분석기)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수출
-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바이오산업 주력은 대부분 기술 장벽이 낮거나 제품특성이 미약한 바이오 식품이나 바이오제제 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구조적 취약성을 보유
- 한편 국내 대기업 및 중견기업군은 신약개발을 포함한 바이오의약 부문, 바이오칩 등 바이오전자 부문 등 비교적 고난이도 기술기반의 바이오산업에 참여
- 삼성, LG생명과학, SK 등 대기업들은 바이오의약, 바이오전자, 바이오정보 등의 분야에서 세계시장 진출을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