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메인메뉴 바로가기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좌표

  • 산업별 정보
  • 바이오 산업통계
  • 국내 바이오산업의 현좌표

바이오산업

3. 국내산업의 현 좌표

이하 자료는 통계법에 의한 일반 통계(승인번호 제 11515호) 조사인 「2002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결과를 활용 - 조사대상
기간은 2002. 1. 1 ~ 12. 31(1년간)임.

(1) 우리나라의 바이오산업 현황 (2002년 통계 기준)

1) 국내 주력업종 분포
생물의약, 바이오식품 업종에 종사하는 바이오산업체 비중이 높음.

<그림 12> 국내 바이오기업의 창업시기 (단위 : 백만 달러, 명, 개) 생물의약, 바이오식품 업종에 종사하는 바이오산업체 비중이 높음.

산업계 동향
국내 바이오산업은 연구개발 단계를 벗어나 매출발생 단계로 발전한 것으로 분석됨.
2002년 현재 국내 바이오산업체 556개 기업 중 345개사(62.1%)가 2002년에 매출을 발생시켰으며, 148개사(26.6%)는 매출 발생 이전의 연구개발 추진 중임. 그 외 63개사(11.3%)는 해외 바이오산업 제품을 수입 판매하는 기업임

<그림 4> 국내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비즈니스 추진 유형 2002년 현재 국내 바이오산업체 556개 기업 중 345개사(62.1%)가 2002년에 매출을 발생시켰으며, 148개사(26.6%)는 매출 발생 이전의 연구개발 추진 중임. 그 외 63개사(11.3%)는 해외 바이오산업 제품을 수입 판매하는 기업임

2002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부문 투자현황
2002년도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산업부문 투자 규모 (수입품 판매업체를 제외)는 평균 8.24억원으로, 미국의 2002년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산업 부문 투자규모 평균인 266억원과 비교할 때 매우 저조

<그림 5> 국내와 미국 바이오산업체의 투자규모 비교 2002년도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산업부문 투자 규모 (수입품 판매업체를 제외)는 평균 8.24억원으로, 미국의 2002년 바이오산업체의 바이오산업 부문 투자규모 평균인 266억원과 비교할 때 매우 저조

2002년도 한국 바이오산업 규모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 추산시 ‘발효공학기술’을 이용하는 주류 산업을 포함시킬 경우 국내 바이오산업 총 규모는 총 8조 1,337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류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총 규모는 1조 8,934억원
주류를 포함하지 않은 2001년 실태조사결과인 1조 3,950억원과 비교하면 2002년 규모 1조 8,934억원은 35.73% 증가
  • 2002년 매출 규모의 92.27%를 2001년에 매출을 발생하였던 업체에서 기여. 이 들 업체 매출액의 2002년 증가율은 25.81%로, 이중 국내 판매액은 11.16% 증가한 반면 수출액 증가율이 43.78%로 나타남
<표 13> 수급규모 요약 (단위: 백만원, %) <표 14> 바이오산업 분야별 국내판매액, 수출액 및 수입액 <그림 6>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의 분야별 비중 (단위: 백만원, %) 2002년 매출 규모의 92.27%를 2001년에 매출을 발생하였던 업체에서 기여. 이 들 업체 매출액의 2002년 증가율은 25.81%로, 이중 국내 판매액은 11.16% 증가한 반면 수출액 증가율이 43.78%로 나타남. 2002년 매출 규모의 92.27%를 2001년에 매출을 발생하였던 업체에서 기여. 이 들 업체 매출액의 2002년 증가율은 25.81%로, 이중 국내 판매액은 11.16% 증가한 반면 수출액 증가율이 43.78%로 나타남. 2002년 매출 규모의 92.27%를 2001년에 매출을 발생하였던 업체에서 기여. 이 들 업체 매출액의 2002년 증가율은 25.81%로, 이중 국내 판매액은 11.16% 증가한 반면 수출액 증가율이 43.78%로 나타남. 2002년 매출 규모의 92.27%를 2001년에 매출을 발생하였던 업체에서 기여. 이 들 업체 매출액의 2002년 증가율은 25.81%로, 이중 국내 판매액은 11.16% 증가한 반면 수출액 증가율이 43.78%로 나타남.
<그림 7>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의 분야별 비중 지역분포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의 분야별 비중 지역분포
매출발생 기업의 총종사자 규모 분포
2002년에 매출 발생 바이오산업체 중 62.0%가 총종사자 규모 50인 이하의 기업이었으며 501인 이상의 대규모 기업의 활동은 7.8%에 불과
바이오산업의 주력업종에 따라 기업 규모에 차이가 있음.
  • 생물의약산업에 경우 조사기업의 15.4%가 501인 이상의 대규모 기업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기존 제약기업 등의 대규모 기업의 활동이 활발하기 때문
바이오식품산업 진출을 위해 2002년 기준 연구개발을 추진 중인 기업 중 15.9%가 501인 이상 대규모 기업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바이오식품산업에서의 대규모 기업 활동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
바이오산업 주력업종별 창립년도 및 총종사자 규모
생물검정, 정보개발서비스 및 연구개발업종의 경우 소규모 신생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음

<표 15> 바이오산업체의 주력업종별 창립년도 분포 <그림 8> 바이오산업체의 주력업종별 총종사자 규모 분포 생물검정, 정보개발서비스 및 연구개발업종의 경우 소규모 신생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음

연구직, 생산직 종사인력 비중
2002년 국내 바이오산업 부문에 투입된 인력은 총 8,707명이며, 이 중 연구개발 인력과 관리직(생물공학 전공자에 한함)을 포함한 연구직 인력은 총 5,082명(58.4%)이고, 연구소 이외의 바이오산업 부문에 근무하는 생산직 인력은 총 3,625명(41.6%)
  • 모든 주력업종에서 기업체의 연구직 인력 평균수가 생산직 인력 평균수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생물검정, 정보개발 서비스 및 연구개발업과 생물전자 산업의 경우 타 업종에 비해 매출발생 기업 비중이 탁월하게 높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직 인력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개발과 매출 간의 상관성이 매우 높은 업종임을 시사
매출을 내고 있는 바이오산업체에서도 연구개발 인력의 비중이 5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출단계의 기업 역시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

<그림 9> 주력업종별 연구인력 대 생산인력 비율 매출을 내고 있는 바이오산업체에서도 연구개발 인력의 비중이 5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매출단계의 기업 역시 혁신을 위한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

바이오산업 특유의 종사인력 학위 분포
국내 바이오산업 부문 종사인력의 학위분포는 연구직은 박사:석사 :학사 비율이 1:2.4:1.2, 생산직의 경우 1:18.1:57.3
바이오산업의 종사인력 학위 분포는 일반 주력기간산업과는 매우 차별화되어 고학력자 위주의 인력 구조를 나타냄.
<그림 10> 바이오산업과 주력기간산업 간의 인력구조 바이오산업의 종사인력 학위 분포는 일반 주력기간산업과는 매우 차별화되어 고학력자 위주의 인력 구조를 나타냄.

) 주력기간산업의 인력구조는 산업자원부, 한국산업기술재단의 ‘2003년 산업기술인력 수급동향 실태조사’ 참조

활용되고 있는 생물공학기술
국내 바이오산업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생물공학기술을 분석한 결과 생물공정기술의 활용 비중이 가장 높아 전체의 46%를 차지
생물공정기술 중 특히 ‘발효공학기술’의 활용도가 가장 높아 이 기술을 활용하는 제품의 수가 전체 바이오산업 제품의 17%를 차지
이는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에서 바이오식품 및 제조업 성향의 업체 비중이 높은 것을 반영하고 있음.
<그림 11> 생물공학기술 이용도 조사 결과 생물공학기술 이용도 조사 결과

주) y축은 이용 생물공학기술 응답 품목(574개)에서의 각 기술 분야별 응답 비중(%)

일부 바이오벤처기업들은 다국적기업의 계약연구개발에 참여하거나 미국 SBIR 프로그램 등 선진국의 기술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보유
바이오식품(기능성식품), 바이오공학 관련기기(유전자추출기, 유전자서열분석기)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수출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바이오산업 주력은 대부분 기술 장벽이 낮거나 제품특성이 미약한 바이오 식품이나 바이오제제 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구조적 취약성을 보유
한편 국내 대기업 및 중견기업군은 신약개발을 포함한 바이오의약 부문, 바이오칩 등 바이오전자 부문 등 비교적 고난이도 기술기반의 바이오산업에 참여
  • 삼성, LG생명과학, SK 등 대기업들은 바이오의약, 바이오전자, 바이오정보 등의 분야에서 세계시장 진출을 시도